2022 캡스톤 디자인 경진대회 (2022년 1학기 1차 예선)

  • JunctionXagain

    팀장
    인세훈 (융합공학부 디지털이미징전공 | 4)
    팀원
    김영권 (소프트웨어학부 | 3)
    오지영 (소프트웨어학부 | 3)

작품영상

CampusRun
  • 개요
  • Campus Run은 대학교 캠퍼스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3D 레이싱 게임 기반의 소셜 플랫폼 입니다.

    본 서비스는, 코로나로 인해 침체된 사람들의 소통과 활동을 조금이나마 활성화 시키고자 하는 작은 바람으로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흔히 말하는 ‘코로나 학번’의 새내기 대학생들은 학교에 직접 방문할 기회도 흔하지 않으며, 같은 과 소속의 선후배 및 동기들이 누구인지도 잘 알지 못하는 것이 현 상황입니다.

    저희는 사용자들이 Campus Run이라는 서비스에서, 같은 학교 및 타 학교 사람들과 코로나 걱정없이 소통하고, 학교 캠퍼스를 모델링한 배경에서 레이싱 게임을 하며 조금이나마 대학교에 대한 소속감과 애착을 느끼기를 바랐습니다.


    ​Campus Run은 기존의 레이싱 게임들이 가진 기능들을 최대한 놓치지 않고 구현하려고 노력하였습니다.

    첫째,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 채팅은 물론, 음성 및 화상 채팅까지 제공하면 기존 게임보다 더 활발한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을까 고민하였습니다.

    둘째, 광장이라는 하나의 공간에 모든 사용자가 모이고 소통한다면, 현실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제한된 대규모 모임을 기획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기존에 존재하는 레이싱 게임들과 마찬가지로 적당한 물리값을 설정하여 물리엔진을 적용하면, 보다 실감나게 게임에 몰입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였습니다.


    Campus Run은 대학생들을 주 타겟으로 설정하고, 침체된 소통을 활성화 시킬 목적으로 다양한 소통 수단을 제공한다는 점이 기존 레이싱 게임 서비스와의 차별점이라고 생각합니다.

     

  • 세부내용
  • CampusRun은 웹에서 대학생들이 학교 맵을 배경으로 게임을 즐기면서 코로나로 인해 잘 가보지 못한 대학교를 보면서 친해질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메타버스 플랫폼이 늘어나면서 온라인상으로, 가상의 캐릭터로 만나는 문화가 자연스럽게 생활 속에 녹고 있습니다. 기존 서비스와는 다르게  웹 형태로 서비스를 구현하면서 기존 서비스와는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대학생들이 서로 레이싱게임을 하며 즐길 수 있다 라는 명확한 목적을 가진 서비스입니다. 


    저희는 크게 Django, NodeJS, Unity 3가지의 기술을 사용하였습니다. 

    Django는 순수하게 백엔드 프레임워크로써 작동을 하며 유저, 랭킹, 게임방 생성 및 참여 등의 api를 담당하는 역할로 사용을 하였습니다. 

    Unity는 게임과 광장(Plaza) 에서 사람들이 멀티플레이로 즐길 수 있도록 게임환경을 구축하는 데에 사용하였습니다. 

    NodeJS는 Unity에서 WebGL형태의 build된 파일들을 가져와서 socket 통신이 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사용자들에게 보여지는 UI 담당을 하였습니다.

    <설계>

     

     


    프로젝트 역할 분담은 다음과 같습니다:

    인세훈: Unity(메인), WebGL(메인), NodeJS(서브)  

    김영권: Django(메인), NodeJS(메인), Unity(서브)

    오지영: NodeJS(서브), Django(서브), Unity(서브)

     

  • 기대효과
  • 정서적 안정과 활발한 사회적 교류

    비대면으로 인해 줄어든 사회적 교류를 활성화합니다.

    학교를 가지 못하는 학생들이 익숙한 공간에서 게임을 할 수 있어 보다 재밌게 게임을 즐길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학교 대항전을 통해 가보기 어려운 타 대학을 구경하며 게임을 통해 성취감과 즐거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맵의 완성도가 높아지면 카트를 이용한 온라인 캠퍼스 투어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플레이어들 간의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에 다양한 학교의 친구들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추후에는 온라인이 아닌 오프라인에서도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시켜나갈 수 있는 서비스가 되고자합니다.

    다른 학교 학생들을 만날 수 있는 기회 뿐만 아니라 코로나로 인해 줄어든 대학교 선후배간의 소통도 활발하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메타버스와 게임시장

    최근 비대면으로 활성화 된 메타버스를 결합한 가상공간으로 3D Market과 게임시장 트렌드에 맞춰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대면이 활성화 되더라도 물리적 거리에 제한 없이 소통할 수 있는 가상공간에 대한 수요는 계속해서 있을것이라 확신합니다.


    확장 방향성

    현재 수도권 15개 대학에 대해서 학교 인증을 제공하고, 중앙대 310관, 운동장 두가지를 맵으로 제공하지만 지속적인 모델링을 통해 더욱더 현실감 넘치고 다양한 공간에서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입니다.

    빠른 확장을 위해 해당 학교 유저들에게 데이터를 제공받거나 혹은 유저들이 맵 에디터로 간단하게 학교 외관을 구현하면 맵으로 추가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대학생이 타겟인 서비스인 만큼 유저인 학생들이 해당 학교 게임의 기획이나 구성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현재 소통 창구로 채팅 기능을 제공하지만 더 원활한 소통을 위해 대기방에서 화상채팅 기능을 제공하고, 미니게임이나 학교 상징물에 관련된 다양한 게임을 기획해 서비스를 확장시켜나갈 것입니다.

     

  • 결과물
  • 01. 로그인/회원가입 

    카카오톡 소셜로그인을 통한 간단한 회원가입 및 로그인

    수도권 15개 대학 이메일 인증을 통해 해당 대학 학생 권한 부여




    02. Home 

    다양한 학교의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는 공간 ‘Plaza’

    개인, 학교별 순위를 볼 수 있는 ‘Ranking’

    Campus Run의 소식과 정보를 접할 수 있는 ‘Event’


    03. Plaza

    개인, 학교별 순위를 볼 수 있는 ‘Ranking’ Campus Run의 소식과 정보를 접할 수 있는 ‘Event’ 03. Plaza

    캐릭터와 채팅을 통해 실시간으로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는 광장 제공


    게임을 하기 위한 기능들 제공

    불특정 다수와 게임을 할 수 있는 ‘방만들기’

    특정 유저에게 초대장을 보내 원하는 사람들과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초대하기’  04. Waiting Room

    새로운 사람들과 함께 게임에 참여하고 싶을 때, 자유롭게 참가할 수 있는 ‘방 리스트’

    게임시작 전 플레이어들끼리 소통할 수 있는 대기 공간

    실시간 채팅을 통해 친밀감을 높이고 팀원들과 전략도 세워보아요

    방장이 시작 버튼을 누르면 게임이 시작 됩니다





    05. Game
     

    참가자의 학교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학교 대항전 레이싱 게임

    현장감 있는 게임을 실시간으로 즐길 수 있습니다

    과연 우승학교는 어디일까요?!

    추후에 더 많은 대학교 맵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중앙대학교 다빈치 sw tech fair 참가신청 닫기